2024.05.02 (목)

  • 맑음속초16.7℃
  • 맑음17.3℃
  • 맑음철원19.2℃
  • 맑음동두천19.8℃
  • 맑음파주18.6℃
  • 맑음대관령16.8℃
  • 맑음춘천18.4℃
  • 맑음백령도16.6℃
  • 맑음북강릉19.4℃
  • 맑음강릉20.4℃
  • 맑음동해18.8℃
  • 맑음서울19.7℃
  • 맑음인천17.5℃
  • 맑음원주17.4℃
  • 맑음울릉도14.7℃
  • 맑음수원18.6℃
  • 맑음영월15.2℃
  • 맑음충주17.1℃
  • 맑음서산17.6℃
  • 맑음울진16.9℃
  • 맑음청주17.5℃
  • 맑음대전18.5℃
  • 맑음추풍령15.9℃
  • 맑음안동14.1℃
  • 맑음상주15.3℃
  • 구름조금포항15.5℃
  • 구름조금군산17.4℃
  • 구름많음대구16.2℃
  • 구름많음전주16.3℃
  • 구름조금울산15.7℃
  • 구름많음창원17.1℃
  • 구름조금광주15.9℃
  • 구름조금부산17.9℃
  • 맑음통영17.0℃
  • 구름조금목포16.3℃
  • 구름조금여수14.7℃
  • 구름많음흑산도17.9℃
  • 구름조금완도19.1℃
  • 구름조금고창17.0℃
  • 구름많음순천16.5℃
  • 맑음홍성(예)19.0℃
  • 맑음16.6℃
  • 구름조금제주17.7℃
  • 맑음고산18.4℃
  • 맑음성산17.4℃
  • 맑음서귀포18.7℃
  • 구름많음진주16.2℃
  • 맑음강화17.4℃
  • 맑음양평16.8℃
  • 맑음이천18.2℃
  • 맑음인제17.8℃
  • 맑음홍천17.4℃
  • 맑음태백18.0℃
  • 맑음정선군17.3℃
  • 맑음제천15.8℃
  • 맑음보은15.9℃
  • 맑음천안18.0℃
  • 맑음보령17.0℃
  • 구름조금부여16.7℃
  • 맑음금산17.6℃
  • 맑음18.8℃
  • 맑음부안17.8℃
  • 구름많음임실16.7℃
  • 구름조금정읍18.0℃
  • 구름조금남원16.6℃
  • 구름많음장수17.1℃
  • 구름조금고창군17.2℃
  • 구름조금영광군17.9℃
  • 구름조금김해시17.6℃
  • 구름조금순창군16.4℃
  • 구름조금북창원17.8℃
  • 구름조금양산시17.9℃
  • 구름조금보성군17.5℃
  • 구름조금강진군18.3℃
  • 구름조금장흥18.5℃
  • 구름조금해남18.4℃
  • 맑음고흥18.7℃
  • 구름많음의령군16.6℃
  • 구름조금함양군16.0℃
  • 구름많음광양시18.0℃
  • 구름많음진도군18.1℃
  • 맑음봉화15.2℃
  • 맑음영주14.6℃
  • 맑음문경15.0℃
  • 맑음청송군14.7℃
  • 맑음영덕16.4℃
  • 맑음의성15.3℃
  • 맑음구미16.6℃
  • 맑음영천15.9℃
  • 구름많음경주시16.2℃
  • 구름조금거창13.9℃
  • 구름조금합천16.7℃
  • 구름많음밀양15.7℃
  • 구름조금산청15.8℃
  • 구름조금거제16.3℃
  • 구름조금남해14.9℃
  • 구름조금17.3℃

출향인 사랑방

내고향 군위 정류소 풍경

  • 작성자 : bruce
  • 작성일 : 09-07-22 16:07
  • 조회수 : 3,266

 쏟아지던 비가 그치고 잠시 햇살이 비쳤다. 이번 비로 홍수가 난데도 적지 않은 모양인데 군위나 소보는 큰 피해가 없다는 보도를 들었다. 다행한 일이다. 불현듯 비 내린 시골의 산천이 보고 싶었다. 오랜만에 시간도 좀 났다. 지난 토요일엔 오래전에 우리가 밟았던 여정을 다시 한 번 밟아보았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대구나 다른 도시로 유학한 사람들의 귀향은 대체로 북부정류장이 출발점이었다. 이 이름은 소보가 대구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데, 이것을 나는 오랫동안 의식하지 못했다. 어릴 때는 도시 특히 큰 도시는 항상 올라가는 개념이었고 시골은 내려가는 개념이었기 때문이다. 크고 높은 것에 대한 무의식적인 관념이다. 귀향길의 출발점으로 북부정류장은 크고 복잡했다. 대체로 명절이나 주말에 이용한 정류장이었기에 그렇기도 했지만 매표소 앞은 늘 사람의 줄이 길게 이어져 있었다. 서둘러 비좁은 개찰구를 나가 버스에 오르면 빈 좌석 하나 보이지 않았다. 

1_277.jpg

그러나 세월은 북부정류장 역시 그대로 두지 않았다. 공간 자체가 절반 정도로 줄어들었다. 그런데도 표 파는 창구는 한산했다. TV 앞에 놓여 있는 조그마한 휴게실에도 빈자리가 곳곳에 눈에 띄었다. 토요일 오후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북부정류장의 규모가 얼마나 위축되었는지 알 수 있다.

줄도 서지 않고 느긋하게 개찰구를 빠져 나가 군위/안동 방면으로 향하는 버스에 오르니 승객은 열 명도 안 되었다. 시대가 바뀌어 대부분 자가용을 이용해서 그렇기도 하겠지만 시골이나 지방으로 가는 사람 자체가 급격히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차창을 통해 밖으로 내다보니 시선에 잡히는 것은 푸르디 푸른 산과 들, 이제 민둥산이니 벌거숭이산이니 하는 것은 옛 말이다. 비가 많이 내렸는데도 냇물은 시뻘건 황토물이 아니라 옅기는 해도 녹색에 가까웠다. 어릴 때 여름의 강은 거의 홍수와 동의어였던 것을 생각하면 얼마나 큰 발전인가. 근대화와 산업화에도 불구하고 박정희 때부터 공을 들인 치산치수가 성공했단 말인가? 그렇기도 하겠지만 푸르른 산천은 인간의 부재를 뜻하기도 하기에 씁쓰레한 감회 또한 내칠 수 없었다.

2_259.jpg
군위 정류소, 어릴 때 군위읍은 꽤 큰 도시였고 정류소는 그 심장부였다. 일 년에 한두 번 가는 군위 장터나 송구시합을 위해 군위국민학교를 갈 때면 거치게 되는 정류소는 언제나 발 디딜 틈이 없었고 왠지 가슴 설레는 곳이었다. 그러나 토요일에 장날까지 겹친 군위정류장은 차라리 적막했다. 보따리 이고 짊어진 장꾼들의 풍경이 보이지 않았을 뿐 아니라 줄을 이어 우시장으로 향하던 슬픈 눈의 소 한 마리 눈에 띄지 않았다. 사람도 사람이지만 그 많던 장날의 소는 어디 갔을까? 3_180.jpg 8개 면에서 사람들이 줄에 줄을 이어 오가던 교통의 요지 군위 정류장이 왜 저리도 쓸쓸하게 변해버렸나. 매표소 앞에는 서너 명이 한가하게 돈과 표를 교환하고 있었고 여남 개 되는 휴게실 의자도 거의 비어 있었다. 그나마 정류장 손님들은 평균 연령이 70도 넘어 보였다. 4_136.jpg 5_84.jpg 통계 자료를 보면 현재 군위의 인구는 8개 면을 다 합쳐도 2만 6천 밖에 안 된다. 이게 얼마나 축소된 수자인지는 인구추이 통계를 보면 알 수 있다. 1965년에 8만, 1975년에 6만 7천, 1985년에 4만 5천, 1995년에 3만 4천, 2005년에 2만 8천. 세대 당 인구를 보면 65년에 6,2명이던 것이 현재 2,2명으로 줄어들었고 인구밀도는 1965년 136에서 42명으로 줄어들었다. 과연 군위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2009060315410247215_154829_0.jpg

   20090327041527619h2_041527_0.jpg

군위 군청은 얼마 전부터 군위를 살려내기 위해 브랜드 하나를 만들었다. '삼국유사의 고장 군위'라는 브랜드다. 대구 경북 권에서는 자주 볼 수 있는 문구다. 문화가 대세인지라 문화브랜드를 창안해 낸 것이다. 그렇지만 삼국유사가 군위와 무슨 상관이 있는가? 잘 알듯이 삼국유사는 고려 때 일연 스님(1206~1289)이 썼고 일연 스님은 경산에서 태어난 사람이다. 그리고 삼국유사의 내용 중에 군위를 배경으로 한 스토리는 없다.

군위와 삼국유사의 연계는 삼국유사가 인각사라는 절에서 집필되었다는 사실에 연유한다. 사적 374호로 지정된 인각사는 고로 화북리에 있다. 인각(麟角)은 기린의 뿔이란 뜻으로 인각사의 자리가 기린의 뿔이 떨어진 곳이라는 말도 있고 인각사의 위치가 지형상 기린의 뿔에 해당되는 곳이란 말도 있다. 옛날에는 한국에도 기린이 살았던가? 아마도 중국을 통해 상서로운 동물로 인식이 되어 상상 속에서 선호된 이미지가 아닌가 생각된다.

 일연이 78세 때 국사의 자리를 물리치고 당시 90이 훨씬 넘은 노모를 모시기 위해 이 인각사에 주지로 부임해 왔다고 한다. 그리고 여기서 삼국유사를 집필하기 시작하여 5년 만에 탈고했다. 그리고 얼마 뒤 84세에 입적했다. 당시에 저렇게 오래 살았다니, 놀랍지 않는가. 하긴 성경에도 부모를 공경하면 장수한다는 말이 있다 (예배소서).

삼국유사란, 삼국사기와 더불어 한국의 역사와 문학사에 둘도 없는 보고다. 효성이 지극했던 일연이 노모를 모시기 위해 선택한 절인데 여기서 한국사에 위대한 작품이 탄생한 것이다.

SDC15543.JPG 

군위 군청은 2014년까지 거액의 예산을 들여 삼국유사 문화브랜드 조성에 심혈을 기울일 방침이다. 얼마 전에는 고김수환 추기경 추모 공원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운 바도 있는데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과연 일연이 21세기에 다시 살아나 군위에 활기를 불어넣어 줄 것인가? 800년 전에 죽은 사람에게 기대는 것보다는 향후 일연이나 김수환 같은 인물이 많이 배출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어떨까?

자식 키우는 우리 동창들 좀 분발해 주길.

 bruce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